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정성을 강조한 온라인 래플 서비스 계획서

by bazz 2022. 11. 9.
반응형

원통안에 있는 로또 공들

 

1. 주제를 정한 이유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 올라서 화제성을 불러일으킬 만큼 요즘 시대에 래플은 커다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래플이란 특정 마케팅의 활용 방식으로 수요는 매우 크지만 공급을 현저하게 줄인 한정판의 판매를 도모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방식이다. 기대심리와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소비자의 심리를 꿰뚫었으며 가치 소비와 과시 소비를 소비형태의 주축으로 하는 MZ세대들을 열광하도록 했다. 하지만 이렇게 수요가 급증하는 만큼 이를 악용하여 불이익을 받는 피해자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래플에서는 당첨자와 제품의 유무가 가장 주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투명하게 알 수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제시되었다. 더 이상의 피해자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문제점 해결을 위한 대처방안의 필요성을 느낀다. ‘로플(Loffle)’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사항은 공정성과 투명성이다. 기존 래플 시스템은 추첨 방식을 공개하지 않은 상태에서 당첨자를 뽑기 때문에 불투명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추첨 로직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추첨 방식에서 두 번의 단계를 거쳐 당첨자를 뽑을 계획이다. 이 방식에서 사람들의 수요가 매우 높은 로또의 추첨 번호를 시스템에 접목을 시켜 새롭게 구성했다. 첫 번째 단계에서 1000원의 응모권을 구매한 이용자만 선착순으로 응모할 수 있으며, 해당 인원들은 적절한 인원으로 추려지게 된다. 이때 각각의 이용자들은 번호 리스트를 부여받는다. 번호 리스트를 받은 사람들은 두 번째 단계로 넘어간다. 본인의 번호 리스트 중에서 해당 주의 로또 당첨 번호 중 보너스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를 가진 사람이 당첨되는 방식이다. 위 방식을 핵심 기능으로 개발할 것을 목표하고 있다.

2. 관련된 세부 리서치

래플만을 위한 전문 사이트는 아니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각광받고 대중적으로 알려진 플랫폼은 무신사이다. 무신사는 래플을 주로 이벤트성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전문적인 래플 사이트는 아니다. 하지만 화제성은 물론 실제로 참여하는 인원의 수를 공개하는데,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무신사 사이트가 대형 의류 사이트인만큼 래플에서 제공되고 있는 물건의 종류가 한정적이다. 대형 기업과 컬래버레이션을 진행한 제품이거나 쉽게 구하기 어려운 한정판 의류들이 대부분이다. 래플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것은 글로벌 대기업 나이키이다. 대형 플랫폼인 만큼 트래픽 관리에 철저하지만 주로 해당 브랜드의 한정판 운동화를 래플 상품으로 공개하고 있다. 현재 래플을 운영하고 있는 대부분의 사이트는 의류, 패션 관련 상품을 주류로 하고 있다. 매우 국한적인 분야이다. ‘로플’은 의류뿐만 아니라, 전자제품, 일상생활 속 필수품 등 다양한 분야의 제품을 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이벤트성으로 언제 오픈되었는지 모르는 시스템이 아닌 일정한 계획을 공개할 예정이다.

3. 프로그램의 시나리오

‘로플’ 시스템 응모의 시작은 이러하다. 이용자는 응모권(1000원)을 구매하여 본인이 원하는 물건에 선착순으로 응모를 한다. 예를 들어 공개된 상품의 가격이1만원이라면 10명만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선착순 응모가 모두 끝나면, 첫 번째 추첨이 이루어진다. 이때 응모한 인원이 45명 이상일 경우와 미만일 경우로 나눈다. 이는 로또에서 사용되는 1-45번을 활용하기 위해 45를 기준으로 잡았다. 45명 이하 n명일 경우 n명을 45의 약수(1, 45를 제외한 3, 5, 9, 15)명으로 랜덤 추첨한다. 당첨된 인원에게 1-45까지의 번호 리스트를 부여한다. 45명 이상일 경우, 45명으로 추첨하고 위와 마찬가지로 번호를 부여한다. 번호를 부여받은 인원만 두 번째 단계의 추첨으로 이어진다. 응모를 시작한 주 토요일에 공개되는 로또 당첨번호 중 보너스 번호와 자신이 받은 번호 리스트 중 에 일치하는 번호가 있다면 당첨된 것이다.

4. 개발 도구와 의존성

예상되는 개발 스펙은 다음과 같다. Front-end는 Netlify를 서버로 두고 React Framework를 사용하여 개발을 했다. React는 GET, POST 등과 같은 요청을 REST API를 통해서 할 수 있다. Back-end는 AWS Elastic Beanstalk 서비스를 이용하여 배포를 한다. Django에 Django REST Framework를 얹어 API 서버를 구동한다. DB는 AWS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를 이용하여 관리한다. REST Framework는 Django ORM의 데이터를 직렬화 하고 RESTful API를 통한 접근/업데이트를 허용한다. Django ORM은 데이터베이스 모델들과 쿼리들을 만들고 관리한다.

반응형

댓글